본문 바로가기
수학/기초 이산 수학

3-3 . 적분

by mogazi 2022. 10. 12.

 

  적분의 이해

 

 

 

미분은 함수의 순간적, 국소적인 변화율을 나타내는 반면, 적분은 함수의 전체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적분은 구체적으로 부정적분과 정적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부정적분이란 함수 f(x)가 모든 정의역에서 f '(x) = f(x)라면 함수 F(x)는 f(x)의 역미분(anti-derivative)이며,

 f(x)의 x에 대한 부정적분이라고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정적분은 미분의 역과정으로도 볼 수 있으며, ∫ f(x)dx로 표현한다. 

 

 

정적분은 부정적분과는 다른 접근법인데, 어떤 구간의 함수 f(x) 아래의 면적을 구해서 적분을 하는 방식이다. 

함수 f(x)와 x축으로 이뤄진 공간의 면적을 정적분으로 고려한다.

 

 

 

 

 

 

 

 

  리만적분 & 정적분

 

 

한 폐구간 [a, b]를 작게 나누는데, 분할된 간격들이 갖는 최댓값의 극한이 0에 가까워질 때 ,

(즉, 면적을 구하기 위한 사용한 직사각형의 너비가 아주 좁게 될때) 분할된 x의 간격에 상관없이 다음의 극한값이 존재하면 함수 f는 적분 가능(integrable)하다. 

 

 

 

 

 

 

 

극한값을 f의 정적분 또는 리만(Riemann) 적분이라고 부르며 수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 > 기초 이산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 코드  (0) 2022.10.12
3-4 . 미적분학 & 편미분  (0) 2022.10.12
3-2 . 미분  (0) 2022.10.12
3-1 . 함수의 개념  (0) 2022.10.11
2-7 . 코드  (0) 2022.10.11